강원특별자치도 청사진 '미래강원 2032' 공개

강원특별자치도 청사진 '미래강원 2032' 공개

핵심요약

인구200만, 지역내총생산 100조 원, 사통팔달 수도권 강원시대 실현 구상
미래산업 글로벌 도시 종합계획 정책방향 및 기본전략으로 활용

지난 9일 강원대에서 열린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식에서 특별자치도 의미와 각오를 전하고 있는 김진태 지사. 강원도 제공 지난 9일 강원대에서 열린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식에서 특별자치도 의미와 각오를 전하고 있는 김진태 지사. 강원도 제공 강원특별자치도 청사진이 될 '미래강원 2032' 발전 전략이 19일 공개됐다.
 
이는 민선 8기 새로운 3대 도정목표(인구200만, 지역내총생산 100조 원, 사통팔달 수도권 강원시대)와 강원특별자치도 특례(자치분권과 규제혁신)등을 바탕으로 한 2032년까지의 발전전략, 기본구상이다.
 
강원도는 3대 도정목표 실현을 위해 자치분권과 4대 규제혁신(환경‧산림‧농업‧국방)을 바탕으로 특별자치도민의 삶의 질을 개선해 수도권과 동등한 정주환경과 생활인구 유입 환경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제조업은 물론, 관광·농림어업·서비스업 등 산업구조 개선과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2032년까지 지역경제(GRDP)를 현재보다 2배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도 정했다. 특히 권역별·기능별로 5대 첨단산업 클러스터(반도체, 바이오헬스 , 미래모빌리티, 친환경 에너지, 접경지역 산업)를 조성해 미래 먹거리 산업과 지역특화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수도권 및 내부 순환 도로‧철도망 연결을 통해 수도권에서 영서권 60분대, 영동권 90분대 광역 교통망을 구축하고 항만 및 배후지 개발 등 바닷길‧하늘길 인프라의 지속적 확충을 통해 명실상부한 동북아 교통물류 중심지로 도약한다는 구상도 포함했다.
 
'미래강원 2032' 발전전략은 강원특별자치도법이 본격 시행되는 내년 6월 법정계획으로 수립될 '미래산업 글로벌 도시 종합계획' 정책방향 및 기본전략 등으로 활용한다.
 
김진태 지사는 "도민의 힘으로 만든'도민의 특별자치도'에 부여된 특별한 지위와 권한을 잘 살리고 활용해 강원특별자치도가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의 선도 모델이 될 수 있도록 민선 8기 3대 도정 목표 실현의 차질 없는 추진으로 '새로운 강원, 특별 자치시대'를 열어 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강원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